Today's News 게시판

    Infinite unhappiness
    페트라 작성일 : 2010-09-17    조회수 : 3,771     





[1경원]
September 17, 2010


The number that represents the boundless life and work of Amitabha and his followers is “mu-ryang-dae-su.” A direct translation of the word is “a boundless big number,” but it also means raising 10 to the 68th power. When Chinese characters are used, it is the largest numerical unit, but in practice, the largest unit used is the gyeong. The gyeong raises one trillion to the 10,000th power. Therefore, it has 16 zeroes. Outside of engineering or astronomy, there is almost no need to use a unit bigger than the gyeong.

Larger units were introduced in the “Sunzi-suanfa,” a Chinese textbook on mathematics and a product of Buddhist influence.

For example, “hang-ha-sa” originates from a metaphor about the impossibility of counting the number of grains of sand in the Ganges. Certainly, there was no need to count grains of sand in the old days. It must have been used to teach people that the world we are living in is almost nothing compared to the limitless universe and that the number of stars in the sky is incalculable.

Although gyeong is used to count large numbers of things, it is a difficult concept for us to fathom. It is said that the number of cells that are created and disappear in a human body from conception to death at age 80 or 90 is 1 gyeong. And the number of ants on earth is 1 gyeong. If we covered the ground with 10,000 won banknotes, we could cover South Korea 474 times with 1 gyeong in won. Still, it is not clear how big the amount is. In one theory explaining the birth of the universe, there appears a huge loop-shaped “string of the universe.” The mass of the string per unit is 1 gyeong ton.

Meanwhile, a recent report said that the financial assets of Korea have exceeded 1 gyeong won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by the Bank of Korea, the aggregate amount of financial assets held by individuals, businesses, financial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amounts to 1 gyeong 3 trillion and 600 billion won. That is about 9.4 times bigger in scale than Korea’s GDP last year.

The amount of financial transactions made through Internet banking and the amount of derivative products traded in a year have exceeded 1 gyeong, according to the report.

If all Koreans live well with such an ample amount of money in our society, there is nothing better than that. But it seems this is not the case. I think 1 gyeong of financial assets is the story of a remote foreign country for low-income people and small and midsize businesses. The actual economic sentiment they feel is still very bad.

Salaried employees worry about their livelihoods and restaurant owners feel anxious when customers ask for more green vegetables for free.

Even in a world of 1 gyeong won, is it so impossible for all Koreans to be happy?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Nam-joong

1경원

아미타불과 그 백성들의 한량없는 수명과 일을 나타내는 수. 바로 무량대수(無量大數)다. 10의 68제곱을 의미한다. 한자문화권에서는 가장 큰 수의 단위다. 그러나 실제로 사물의 수를 셀 수 있는 단위는 경(京) 정도까지다.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조(兆)의 1만 배다. 1에 0이 16개나 붙는다. 경 이상 단위는 공학이나 천문 계통 전문분야가 아니면 대체로 쓸 일이 없다. 그나마 전문분야에서도 ‘10의 몇 제곱’식의 표현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숫자 경은 사람 입에 흔히 오르내리는 단위가 못 되기 십상이다.

중국의 옛 수학책 『손자산경(孫子算經)』이 전하는 경 이상의 큰 수 단위는 불교의 영향이 컸다. 10의 52제곱을 뜻하는 항하사(恒河沙)는 인도 갠지스강의 모래 숫자처럼 셀 수 없이 많다는 비유다. 그 옛날 이런 수를 셀 일이 있었을 리 만무하다. 단지 인간이 몸담고 있는 이 세계가 무궁한 우주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며, 수가 무한함을 깨우치려는 의도일 터다.

경은 구체적으로 사물을 헤아리는 데 사용되긴 하지만 그 크기를 짐작하는 게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우주 이론에서 은하의 생성을 설명하는 거대한 고리 모양의 ‘우주 끈’이 등장하는데, 그 끈의 단위 길이당 질량이 1경톤이다. 인간이 수정된 난세포에서부터 80~90세까지 살면서 몸에 생겨났다가 사라지는 세포의 수가 1경 개라고 한다. 지구에서 개체수가 가장 많다는 개미의 수가 약 1경 마리다. 1경원을 1만원짜리로 땅바닥에 깐다면 우리나라를 474번 덮는다고 하니 그 양을 알 듯 모를 듯하다.

우리나라의 금융자산이 사상 처음으로 1경원을 돌파했다고 한다. 개인과 기업, 금융회사, 정부가 가진 금융자산을 모두 더하면 1경3조6000억원에 이른다는 게 한국은행의 그제 발표다. 지난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9.4배 규모다. 이미 인터넷 뱅킹의 연간 거래 금액이나 파생상품 거래액도 1경원을 넘었단다. 한마디로 돈이 많다는 얘기다.

돈이 넘쳐 모두가 잘살면 그보다 좋은 일이 있을까마는 그런 것 같지는 않다. 1경원의 금융자산이 서민·중소기업과는 거리가 먼 딴 나라 얘기일 성싶다. 그들이 체감하는 경기는 여전히 차디차다. 월급쟁이 살림살이 걱정은 여전하고, 식당 주인은 “상추 좀 더 달라”는 손님 말에 벌벌 떤다. 그림도 잘 안 그려지는 1경원 운운(云云)하는 세상, 모두가 함께 행복해질 수는 없는 걸까.

김남중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