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News 게시판

    Stone tablet maps to GPS tablet PCs
    페트라 작성일 : 2010-08-13    조회수 : 3,740     



[‘스트리트 뷰’]
August 13, 2010


The first world atlas was made by ancient Babylonians in the 6th century B.C. They drew it on a clay tablet by using geometric lines, a circle and an isosceles triangle. Based on the legend of Sargon, the inside of the circle represented the land (i.e. the empirical world of this side), and the outside represented the sea (i.e. the imaginary world of the other side). Japanese scholar Toshiaki Oji said, “Ancient maps do not show the world, but the worldview of the people who made it.”

The world’s first printed map was produced in China in the 12th century. With the Great Wall as the northern boundary of the world, it was a vision of Sinocentrism. The Cantino World Map is the earliest modern world map, made in Portugal in 1502. For the first time, it included longitude and latitude. Using a scale of 1:12,820,000, it had significance in four main categories: ideological, artistic, scientific and practical. In particular, the map provided information on the goods produced in each region. It was the first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Map production technology is changing dramatically with the use of global positioning systems. It is now possible to get information not only on longitude, latitude and altitude, but also on the speed of a moving object via the 24 Navstar satellites that circle the earth at an altitude of 22,000 kilometers (13,670 miles). Civilian satellites are less accurate than military ones. They have a margin of error of 3 centimeters (1.18 inches) per second. That’s why the speed on a dashboard gauge does not match with that on a navigator.

Now, Google is producing maps that are closer to reality by using GPS. This is Google Maps. In 2007, it started Street View, a 3-D map service that shows actual photographs taken at ground level with a sophisticated camera. And once again they changed the concept of a search engine - not only providing information by keyword, but also tailoring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hrough location-based services. The potential for advertising revenue explains why Google provides these incredible maps for free. It is also the reason Apple recently took over a Canadian 3-D mapmaker.

In the meantime, a security-related problem arose in Korea. While Google Korea was collecting information on geographical locations, it also collected some private information via public Wi-Fi networks. In Taiwan, a woman’s naked body appeared on Street View, causing a stir.

However, this may only be the beginning. The “Big Brother” in George Orwell’s “1984” may already be looking down on us. With a smartphone in our hands, we can see where you are, what you do and even what you think about. They argue that we will never get lost as we hold a palm navigator in our hands. But I wonder whether modern men have lost their way because of Google Maps, standing at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 and humanity.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Park Jong-kwon

‘스트리트 뷰’

최초의 세계지도는 기원전 6세기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제작됐다. 점토판 위에 직선과 원, 이등변삼각형으로 세계를 그렸다. ‘사르곤의 전설’을 토대로 원 안쪽은 육지로 경험의 차안(此岸)을, 바깥쪽은 바다로 가상의 피안(彼岸)을 나타냈다. 일본의 학자 오지 도시아키는 『세계지도의 탄생』에서 “고대 지도는 세계가 아니라 세계관을 담았다”고 설파했다.

인쇄 지도는 12세기에 제작된 중국의 ‘고금화이구역총요도(古今華夷區域總要圖)’가 최초다. 만리장성을 북쪽 경계로 그들만의 ‘화이(華夷)’ 사상을 담았다. 근대식 지도는 1502년 제작된 포르투갈의 ‘칸티노 세계지도’다. 처음으로 경도와 위도를 사용했다. 축적 1282만분의 1에 사상성·예술성·과학성·실용성이란 ‘지도의 4요소’를 모두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여기에는 각 지역의 ‘상품정보’가 제공됐다. 현대적인 위치기반 정보서비스의 효시인 셈이다.

지도 제작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으로 획기적인 변화를 맞는다. 지구 2만2000㎞ 상공 24개의 ‘내브스타(NAVSTAR) 위성’에서 위도·경도·고도에 속도 정보까지 얻을 수 있다. 민간용은 군사용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져 속도측정 오차가 초당 3㎝가 난다고 한다.

검색업체인 구글(Google)은 이를 이용해 실제와 근접한 지도를 제작한다. ‘구글 맵스’다. 여기에 2007년부터 ‘스트리트 뷰’ 기능을 더했다. 카메라로 거리 상황을 찍어 360도로 재현한 3D 지도다. 그러면서 ‘검색’의 개념도 바뀌었다. 키워드뿐 아니라 사용자 위치를 기준으로 ‘맞춤형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다. 위치기반서비스(LBS)인데, 구글이 ‘비싼’ 지도를 ‘공짜’로 제공한 이유다. 아이폰의 애플이 최근 캐나다의 3D 지도제작 업체를 사들인 배경이기도 하다.

그런데 여기서 보안 문제가 불거졌다.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근거리무선망(Wi-Fi)을 통해 사생활 정보가 누출됐다는 것이다. 대만에서는 여성의 알몸이 노출돼 말썽을 빚었다. 하지만 이는 어쩌면 약과다. 조지 오웰이 『1984』에서 그린 ‘빅 브라더’가 이미 눈앞에 있다. 스마트폰을 쥐고 있으면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무슨 생각을 하는지까지 알 수 있다. ‘손 안의 내비게이션’ 덕분에 길을 잃지 않게 됐단다. 하지만 현대인은 ‘구글 맵스’의 길 위에서 길을 잃은 것은 아닐까. 첨단 문명과 인간성의 갈림길에서 말이다. 과연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나.

박종권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