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News 게시판

    Return of the fallen soldiers
    페트라 작성일 : 2010-11-03    조회수 : 2,927     





[전사자의 부활]
November 03, 2010


Cho Chang-ho, the first South Korean prisoner of war in the North to defect back to the South, who passed away in 2006, was known as the “fallen soldier who returned.” He was a freshman at Yonsei University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on June 25, 1950. He joined the army as a second lieutenant. In September the following year, he was captured by the Chinese. Although the armistice was signed in 1953, his name was not found on the list of prisoners repatriated to the South. In 1977,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listed him as a fallen soldier and had him enshrined at the National Cemetery.

In October 1994, 43 years after he had disappeared, he returned home. At the age of 64, Cho risked his life to defect from the North by crossing the Yalu River in a dugout canoe. Although he was forced into hard labor for decades, his desire for freedom and longing for his home could not be dampened. Scenes of him saluting the defense minister touched hearts nationwide as Cho said, “Second Lieutenant Cho Chang-ho of the artillery unit, military service number 212966, reports his safe return.”

The complex emotions a POW goes through are described in “Gwangjang,” a novel written by Choi In-hoon in 1960. When South Korean POW Lee Myung-jun was asked, “To which side will you return?” he replied, “A neutral country.” His questioner retorts: “There is freedom in the Republic of Korea. Human beings deserve.?.?.,” to which Lee repeats, “A neutral country.” Lee’s suicide, committed on a ship heading to a neutral country, symbolizes the pain that war-weary POWs feel.

Cho’s defection to the South demonstrated his tenacity and courage, and sparked interest in the issue of South Korean POWs held by the North. Since then, more than 70 South Korean POWs have escaped the North to live here.

A few days ago, four South Korean POWs met their families at a reunion. They, too, were listed as deceased on the military register. When the armistice was signed, the North repatriated 8,343 South Korean POWs, only one-tenth of what is estimated to a total of 88,000. The North maintains that there are no South Korean POWs in North Korea. But about 500 South Korean POWs are reportedly still there. And even that number may be the tip of the iceberg.

The U.S. Army’s motto is to never leave a fellow solider in the battlefield. So should we forever ignore South Korean war prisoners with folded arms?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o Dae-hoon

전사자의 부활

‘돌아온 사자(死者)’. 국군포로 출신 탈북자 1호인 조창호(2006년 작고)씨는 이렇게 불렸다. 그는 연세대 1학년에 재학 중이던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자 국군에 소위로 입대했다 이듬해 9월 강원도 중부전선에서 졸지에 중공군 포로가 된다. 휴전이 됐건만 포로 송환 협상에 그의 이름은 오르지 않았다. 생사도 오리무중이었다. 77년 전사자(戰死者)로 처리된 그의 위패는 국립묘지에 안장됐다.

그리고 17년이 흐른 94년 10월, 조씨는 죽은 자에서 산 자로 ‘부활’했다. 64세의 백발노인이 된 조씨는 압록강에서 쪽배에 몸을 싣고 엑소더스를 감행했다. 노동교화수용소와 구리광산에서 수십 년간 강제 노역에 시달렸지만 자유와 고향에 대한 그의 갈구(渴求)를 꺾을 수 없었다. 그리고 목숨을 건 험난한 여정 끝에 한국 땅을 밟았다. 43년 만의 귀향이었다. 당시 “포병 소위 조창호, 군번 212966, 무사히 귀환했음을 신고합니다”라며 국방부 장관에게 거수경례를 하며 귀환신고를 하던 장면은 국민의 심금을 울렸다.

전쟁포로의 복잡한 심경은 60년 발표된 최인훈의 소설 『광장』에 잘 묘사돼 있다. “동무는 어느 쪽으로 가겠소?” “중립국.” “대한민국엔 자유가 있습니다. 인간은….” “중립국.” 주인공 이명준이 남도 북도 아닌 중립국을 선택해 배를 타고 가다 자살하는 장면은 이데올로기 전쟁에 지친 포로들의 정서를 상징했다. 그만큼 조씨의 탈출은 포기를 모르는 끈질긴 용기였고, 국군포로에 대한 사회의 관심을 환기시켰던 사건이었다. 이후 70명 이상의 국군포로가 북한을 탈출해 한국행 대열에 합류해 산 자로 되돌아왔다.

엊그제 금강산 이산가족 상봉행사에서 죽은 줄 알았던 4명의 국군포로가 남한의 가족과 뜨거운 해후(邂逅)의 눈물을 흘렸다. 모두 국방부 병적기록부에 전사자로 처리됐던 이름들이다. 정전협상 당시 북한은 국군포로 8343명을 돌려줬다. 우리 측이 추산한 8만8000여 명의 10분의 1 에 불과했다. “더 이상의 전쟁포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게 지금도 북한의 입장이다. 현재 북한에 사망자를 제외하고 국군포로 500여 명이 생존해 있다고 하지만 빙산의 일각일 것이다.

언제까지 북한의 국군포로들을 전사자로 외면한 채 영화 속 ‘빠삐용’이 되길 기다리며 방관할 것인가. “전우를 전쟁터에 두고 오지 않는다”는 미국의 신념에 고개가 숙여진다.

고대훈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