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News 게시판

    Respect tradition of funeral rites
    페트라 작성일 : 2010-11-04    조회수 : 3,320     





[상조 비리]
November 04, 2010


No matter who you are, death is an unavoidable fact of life. Philosophers and religious leaders have tried to find meaning in death since time immemorial.

They say that death is the most difficult for the living, who hold burial services to ease their pain and say goodbye to the deceased.

Funerals are an essential ritual for all of the cultures of the world, reflecting the unique geographic conditions, religious beliefs, lifestyle and values of a given society.

But although funeral customs may differ from place to place, the purpose is to ensure the dead ascend to paradise. In Tibet, a burial is for the lowest members of society. The elite had a “sky burial,” which involved letting eagles feed on the corpse. An ethnic minority in China would hang coffins on the side of a cliff to pray for ascension and eternal rest of the deceased.

Korea’s funeral culture is based on filial piety. Ancient Koreans believed that holding a proper funeral for parents was no less important than serving them while they were alive. In “Gyeokmong-yogyeol,” prominent Joseon scholar Yi I, whose pen name was Yulgok, quoted Zeng Zi: “Men should hold funerals for their parents with devotion.”

The funeral was also important in the Goryeo period. “Goryeosa,” or History of Goryeo, says: “When a person passes away, the family invites a shaman or Buddhist priest to perform a funeral. They place offerings on the table and hold a ceremony, ringing bells and beating drums to send the spirit of the deceased to paradise. Sometimes they even spend their entire fortune on the ritual.” That’s because the funeral was the most important of all matters related to human life.

The custom of creating a grass tumuli for the deceased grew out of the practices of the island regions along the southern coast. When a parent died, their fisherman sons would create a temporary tumuli so that a proper funeral could be held when they returned from sea.

In every era, in every country, the funeral is a solemn rite not to be tampered with. But a recent spate of scandals has tarnished this most sacred of rituals. In the most recent, the chairman of Hyundai Jonghap Mutual Aid Society was arrested for embezzling 13.1 billion won in company funds, depriving many people of the chance to provide a proper burial for their families.

It is time that people stop tampering with funeral funds and give this ritual the respect it deserves.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Nam-joong

상조 비리

인간에게 죽음은 불가피한 현상이다. 그래서 죽음은 인간의 원초적 고민거리다. 종교와 철학이 죽음과 관련된 문제들에 매달려 온 이유다. 원시시대부터 인류는 죽음에 의미를 부여했고, 누군가가 죽으면 망자(亡者)를 떠나보내는 경건하고 정성스러운 의식을 치렀다. 바로 장례(葬禮)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장례의식을 행하는 동물”이라고 했다. 그만큼 장례는 인간사의 핵심인 것이다.

장례는 지리적 조건과 환경, 생활습관, 신앙이 빚어낸 풍습이다. 그러니 민족마다 그 모습이 천태만상(千態萬象)이다. 우리 장례문화의 근본은 효(孝)다. 옛사람들은 효의 실천을 부모가 살았을 때 예의로 섬기는 것 못지않게 죽었을 때 예의를 갖춰 장례와 제사를 모시는 것으로 생각했다. 율곡 이이가 『격몽요결』에서 증자(曾子)의 말을 빌려 남긴 가르침은 이렇다. “사람은 스스로 정성을 지극히 하는 자가 있지 않으나, 반드시 어버이의 상에는 지극히 해야 할 것이다. 죽은 이를 장사 지내는 것은 어버이를 섬기는 큰 예절이다.”

『고려사』가 전하는 고려시대 장례 모습도 정성 그 자체다. “초상이 나면 무당이나 스님을 불러다 제를 드리는데, 상에 가득 제물을 진설해 놓고 종과 북을 울리며 죽은 이의 영혼을 좋은 곳으로 인도하는 천도재를 지낸다. 때로는 장례를 치르는 비용이 과다해 가산을 탕진하기까지 한다.” 장례가 대사(大事) 중의 대사였으니 그랬을 법도 하다. 남해 섬 지역의 초분(草墳) 풍속도 장례를 얼마나 중요하게 여겼는지 보여준다. 장남이 고기잡이를 떠났을 때 부모가 죽으면 풀로 가묘를 썼다가 아들이 돌아온 뒤 장례를 치렀다고 한다.

모습은 달라도 여러 장례의 공통점은 죽은 자의 승천(昇天)이기 십상이다. 티베트에선 매장을 가장 가치 없는 사람에게 치러주는 장례로 여긴다. 최상의 장례는 천장(天葬)이다. 시신을 독수리에게 먹임으로써 영혼의 승천을 축원한다. 중국 소수 민족의 현관장(懸棺葬)도 관을 절벽 높은 곳에 매달아 영혼의 승천과 안식을 기원한다.

상조회사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보람상조·한라상조에 이어 현대종합상조 회장과 대표가 엊그제 회사 돈 131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자신이나 가족의 죽음에 대비하려는 사람들을 우롱한 것이다. 장례는 단순한 사후 처리가 아니다. 죽은 자와 산 자 모두를 위해 성스럽게 치러져야 하는 의식이다. 장례를 가지고 장난치는 못된 버릇은 장사(葬事)지내야 마땅하다.

김남중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