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News 게시판

    Call for more sons of generals past
    페트라 작성일 : 2010-10-08    조회수 : 3,141     



[장군의 아들]
October 08, 2010


During the Korean War, the Korean Peninsula was also the place where American military generals and their sons practiced noblesse oblige.

A total of 142 sons of American generals participated in the war and 35 of them were killed in action or wounded. One of them was James Van Fleet, Jr., a captain of the U.S. Air Force and the son of the U.S. 8th Army Commander James Van Fleet. James, who participated in the war together with his father, went missing in action while on a bombing mission during night hours.

“I received combat flying training voluntarily. I will fly a B-26 bomber. To defend the right that everybody in the world deserves to live without fear, my father fights in Korea. It seems that the day I can be a help to my father is approaching,” wrote James in his last letter to his mother. General Van Fleet maintained the posture of a real soldier even after his son went missing in action. Believing it was reckless, he stopped the rescue operation of his son from enemy territory, and he fulfilled his duty as the commander of the U.S. Army without a hitch.

Sam Walker, the son of Walton Walker, who was commander of the 8th Army before Van Fleet,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as an army captain. After Walker Sr. met a tragic end near Uijeongbu in December 1950, Douglas McArthur, commander of the U.N. Forces, summoned Sam to his office in Tokyo and ordered him to go back to the United States with the remains of his father. But Sam insisted on going back to the front line because he could not leave the men under his command who were struggling hard risking their lives.

In Korea, too, there was a similar tradition. One example was the sacrifices that the sons of Silla generals made at a battle between the Silla Kingdom and Baekje Kingdom at Hwangsanbeol in 660. When Silla troops were driven into a corner by the Baekje army, the generals sent their beloved sons into a deadly situation. What the two generals asked of their sons was to show patriotism, filial piety and be a model for the soldiers.

Today, at the Defense Committee’s inspection of the administration, a controversy was raised over the issue that the sons of military generals were assigned to relatively easy posts. While only a small number of them were assigned to heavy-duty combat troops, more of them were dispatched to overseas countries on peace-keeping missions. In the aftermath of the uproar against the scandal that the daughters of cabinet ministers were given jobs at the Foreign Ministry without passing a state exam, it may not be a surprise any longer. But the government should not take it lightly. I wonder if we can expect to see sons of generals who are comparable to the sons of American generals who shed their blood to defend this country as well as the sons who inspired Silla troops.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Kim Nam-joong

장군의 아들

6·25전쟁이 벌어진 한반도는 미군 장군들과 그 아들들이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전장(戰場)이기도 했다. 장군의 아들만 142명이 참전해 35명이 전사하거나 부상을 당했다. 주한 미8군 사령관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의 아들 짐 밴 플리트 공군 중위도 그중 한 명이다. 아버지를 따라 참전한 짐 중위는 1952년 4월 4일 야간 폭격 임무 수행 중 실종됐다.

“저는 지원해서 전투비행훈련을 받았습니다. B-26 폭격기를 조종할 것입니다. 아버지는 모든 사람이 두려움 없이 살 수 있는 권리를 지켜주기 위해 한국에서 싸우고 있습니다. 저도 아버지에게 힘을 보탤 시기가 다가온 것 같습니다.” 짐 중위가 어머니에게 보낸 마지막 편지의 일부다. 아버지 밴 플리트 장군은 아들을 잃고도 참군인의 모습을 보여줬다. 적지(敵地)에서의 아들 구출작전을 무모하다는 이유로 중지시키고, 흐트러짐 없이 지휘관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했다.

밴 플리트 장군의 전임 미8군 사령관인 월턴 워커 장군의 아들 샘 워커 육군 대위도 중대장으로 한국전에 참전했다. 워커 장군이 50년 12월 의정부 부근에서 순직하자 아들 샘 대위는 일본 도쿄에 있던 유엔군 사령관 맥아더 장군에게 불려간다. 아버지의 유해를 모시고 미국으로 돌아가라는 명령이 떨어졌다. 샘 대위는 전선으로 돌아가겠다고 고집했다. 부하들이 목숨을 걸고 악전고투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대장이 바뀌면 안 된다는 이유에서다. 군인정신의 모범이라 할 만하다.

우리에게도 이런 전통이 없는 건 아니다. 660년 황산벌 전투에서 신라의 장군들과 그 아들들이 보여준 모습이 대표적이다. 백제 계백 장군과의 최후의 일전에서 신라군이 수세에 몰리자 김흠춘 장군의 아들 반굴과 품일 장군의 아들 관창이 단신으로 적진에 달려들어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다. 아들을 사지(死地)로 보내면서 두 장군이 앞세운 건 ‘충성과 효도’ ‘군인의 모범’이었다.

그제 국방위 국감에서 장성(將星)의 자제들이 편한 부대와 보직에 배치받는다는 이른바 ‘장군의 아들’ 논란이 제기됐다. 근무가 고된 전투병으로 근무하는 비율은 극히 낮은 반면 인기 좋은 해외파병 비율은 높다는 것이다. ‘장관의 딸’ 특채 파문 뒤끝인지라 새삼 놀랄 일이 아닐 수도 있겠다. 그렇다고 대수롭지 않게 여겨선 곤란하다. 이 땅에서 피 흘렸던 미군 장군의 아들들과 반굴·관창에게 부끄럽지 않은 ‘장군의 아들’을 기대하는 건 시대착오적 욕심일까.

김남중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