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News 게시판

    Living and dying in exile
    페트라 작성일 : 2010-10-12    조회수 : 3,202     



[망명정객]
October 12, 2010


“Going, going, going away. I am leaving you and going away. I have found my reason, dear my love, Korean Peninsula.”

An Chang-ho wrote his “Song for the Nation” as he sought refuge in the United States in 1910. The independence movement leader said that the misery of exile had left him with a bitter taste. But when he held on to his beloved homeland he kept the glory of the past, the anger of the present and the hope for the future.

A person in exile has one dream: going home. Charles de Gaulle led the French resistance movement in Britain during the Nazi German occupation of France. After World War II, he returned to France as a hero and was elected president. Ruhollah Khomeini, who sought refuge in Paris, led the Iranian Revolution and overthrew the Pahlavi monarchy, becoming the supreme leader and starting a theocratic regime. Former Korean President Kim Dae-jung sparked democratization and was elected president after he had spent 1,087 days in exile.

For many people in exile, the dream remains a fantasy. Most of them wander through strange lands, trying to deal with their pain. An Chang-ho and many other anti-Japanese independence fighters were unable to return to Korea nor lived to see the country’s liberation. The 14th Dalai Lama leads the Tibetan Government in Exile in Dharamsala, India, where he advocates for Tibetan independence.

France is a haven for people living in exile. Vladimir Lenin left Russia for France and Heinrich Heine moved to Paris when his works were banned in Germany. Frederic Chopin went to Paris when Poland was suppressed by the Russian Empire. Paris embraced these elite refugees and philosophy, literature and the arts flourished. Just as Qin Dynasty Chancellor Li Si argued in “Jian Zhu Ke Shu”: rivers and oceans become deep because they take in every drop of water.

A considerable number of people in exile live under the threat of assassination. Leon Trotsky, who was one of the leaders of the Bolshevik Revolution, was deported from the Soviet Union and went to Mexico, but he was killed by Stalinist assassins. Reformist Kim Ok-gyun lived in exile in Japan but was assassinated in China. Former Korea Central Intelligence Agency Director Kim Heong-uk was vigilant but was assassinated. Lee Han-yeong, nephew of Kim Jong-il’s mistress, defected to South Korea but was shot near his home in 1997.

Hwang Jang-yop, the highest ranking defector from North Korea who lived under the constant threat of assassination for betraying his Juche (self-reliance) philosophy, died of a heart attack on Sunday. Perhaps he had a sense of skepticism and powerlessness because the North Koreans have not yet awoken from the delusion of Juche philosophy and are allowing a third generation power succession. It is truly regrettable and I pray for Hwang’s soul.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Park Jong-kwon

망명정객

“간다 간다 나는 간다/너를 두고 나는 간다/잠시 뜻을 얻었노라…나의 사랑 한반도야.” 도산 안창호 선생이 1910년 미국으로 망명하면서 부른 거국가(去國歌)다. 망명의 참담함은 쓸개 맛이라 했다. 어제의 영광과 오늘의 분노, 그래도 버릴 수 없는 내일의 희망 때문이다. 비록 시인 김광균이 ‘추일서정(秋日抒情)’에서 ‘낙엽은 폴란드 망명정부의 지폐’라고 간파했지만. 한때의 화려함이 퇴색하고 바람에 실려 나뒹구는 존재 말이다.

망명정객의 꿈은 환향(還鄕)이다. 드골은 망명지 영국에서 독일에 점령된 프랑스의 레지스탕스 운동을 이끌었다. 전쟁이 끝나자 영웅으로 귀환, 대통령에 오른다. 파리로 망명한 이란의 호메이니는 팔레비 왕조를 무너뜨리고 신정(神政)을 편다. 1087일의 망명생활을 마친 김대중 전 대통령은 민주화를 열고 대통령에 당선된다. 이승만 초대 대통령은 망명에서 돌아와 대통령이 됐다가 다시 망명을 떠나는 비운을 겪지만.

이렇듯 꿈을 이룬 망명정객은 드물다. 대부분 이역(異域)을 떠돌며 한(恨)을 삭인다. 안창호 선생이 그랬고, 수많은 항일 망명투사가 그랬다.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는 인도 에서 망명정부를 이끌고 있지만, ‘희망의 씨앗’에 불과할지 모른다.

프랑스는 ‘망명자의 천국’이다. 관용의 ‘톨레랑스’가 바탕이다. 러시아의 레닌, 프로이센의 하이네, 폴란드의 쇼팽…. 이들을 받아들인 파리는 사상과 문학과 예술의 꽃을 활짝 피워 근현대사의 중심지가 된다. 이사(李斯)가 『간축객서(諫逐客書)』에서 논박했듯, 강과 바다는 작은 물을 가리지 않아서 깊은 것이다. 비록 독재자를 받아들여 비난을 받고, 최근엔 유럽 노숙자의 천국이 됐다고 하지만.

상당수 망명정객은 암살 위협에 시달린다. 러시아 볼셰비키 혁명의 주역 레온 트로츠키는 멕시코로 망명했지만, 결국 스탈린에 의해 암살된다. 갑신정변의 풍운아 김옥균도 일본 망명 이후 중국에서 수행원의 총에 맞고, 유해는 송환돼 능지처참됐다. 김형욱 전 중앙정보부장도 신변을 조심했지만, 결국 성공적이지 못했다. 김정일의 처조카 이한영도 1997년 주택가에서 총에 맞았다.

주체사상을 버려 공공연히 암살 위협을 받아온 망명정객 황장엽씨가 심장마비로 숨졌다. 어쩌면 북한 주민들이 주체사상의 망상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오히려 3대 세습이 이뤄지는 데 짙은 회의와 무력감을 느꼈을지 모르겠다. 안타깝다.

박종권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