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News 게시판

    Turning yellow dust into gold
    페트라 작성일 : 2010-05-14    조회수 : 6,279     



[‘녹색 계열’]
May 14, 2010


A poet from the Tang Dynasty (618-907) once wrote that a “sandstorm covered the sun.” Tales of the yellow dust storms that blow down from China and spread out over Asia every year date back that far. Today, even the boundaries of the storms’ influence have been blurred. Hong Kong, which was thought to be safe from the yellow dust, was recently blanketed with the stuff. The chalky debris regularly makes its way into the Korean Peninsula, out across the Korean Strait and on to Japan. According to Beijing’s state-run weather agency, the damage from the yellow dust this year will be the worst of its kind thus far.

The dust originates from three places in China - the southern parts of Xinjiang and Neimenggu (Inner Mongolia), as well as Gansu Province. Of China’s 27 provinces and autonomous regions, 21 provinces lie within a “damage zone” as the dusty cloud sweeps across the country. One-fifth of China is desert, and one-fifth of the population suffers the dust’s effects.

The person credited for exacerbating the dust problem should be Mao Zedong, who ordered trees cut down at random to get iron for arms, created terraced fields by leveling mountains and destroyed grassland to grow grain.

But the yellow dust is only a part of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going on in China. The entire country is overflowing with contaminated water and garbage.

To stop the desertification of China’s grasslands and slow the movement of the yellow dust, Premier Wen Jiabao recently announced the state’s “Green Policy Guidelines.” The guidelines, which will apply to all industries, stipulate that forestry and water resources be protected for the next 100 years. The Chinese government has also announced a plan to create windbreak forests and has established special task forces on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Korean companies should take note of these changes. Above all, businesses that create contamination should either clean up or give up the idea of doing business in China. Even private companies will be subject to fines if they are found to be in violation of the new guidelines. And that could keep a lot of companies out of the Chinese market.

On the other hand, this could prove to be a golden opportunity for Korean companies that are prepared to deal with the new regulations. In the future, China plans to launch national environment-related projects, which could result in a 21st-century gold rush in that country. China is eager to encourage environment-friendly businesses such as solar batteries, and will certainly reduce the tax burden for such firms as an enticement. That is why Samsung Chairman Lee Kun-hee’s 10-year plan is worthy of attention. China is opening the door to a new market for Korean businesses that work to spin the yellow dust into gold.

*The writer is the chief of an investigative reporting team of the JoongAng Ilbo.

By Jin Se-keun

‘녹색 계열’

‘모래바람이 해를 가렸다(沙塵朝蔽日)’는 당(唐) 설기동(薛奇童)의 시다. 황사의 연원은 그만큼 장구하다. 이젠 경계도 없다. 황사 무풍지대였던 홍콩도 모래바람을 뒤집어썼다. 한반도를 넘어 현해탄을 건너 일본까지 중국발 황사는 날아간다. 게다가 올해엔 역대 최악의 황사란다. 베이징 기상당국의 예보다. 황사 최대 피해국은 발원국인 중국이다. 황사 발원지는 신장(新疆) 남부, 간쑤(甘肅), 네이멍구(內蒙古) 남부 등 3곳이다. 전체 27개 성(省)·자치구 가운데 21개 성이 피해권이다. 국토의 5분의 1이 사막지대고, 인구의 5분의 1이 황사에 시달린다. 둔황(敦煌)도 황사에 묻혀간다.

황사가 이처럼 악화된 데는 마오쩌둥(毛澤東) 탓이 크다. 무차별 벌목으로 쇠를 녹이고, 산을 밀어 계단밭을 만들고, 초원을 걷어내고 곡식을 심었다. 순자(荀子) 말대로 ‘근본을 벌목하고, 근원을 고갈시켜 천하를 태운 꼴(伐其本, 竭其源, 而焦天下矣)’이다. 황사는 환경 파괴의 한 자락에 불과하다. 중국은 전역이 오염된 물과 쓰레기로 넘쳐난다. 이제 중국은 다급해졌다.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는 최근 당 기관지(誌) 구시(求是)에 ‘녹색 계열’을 발표했다. ‘공정(工程)’은 단일 정책이지만, ‘계열(系列)’은 다방면에 걸친 장기적인 정책을 말한다. 그는 임산자원, 수자원 보호를 ‘100년 국가과제’로 선언했다. 국무원도 방풍림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사막화와 황사를 동시에 막겠다는 구상이다. 재생에너지 개발, 기후변화 대비를 위한 특별 소조(小組)도 꾸렸다. 핵심은 원 총리가 서명한 환경평가조례다. 앞으로 모든 산업과 개발에 환경평가의 잣대를 들이대겠다는 얘기다.

우리 기업이 긴장하고, 한편 환호해야 할 대목이다. 긴장의 이유는 금지다. 오염 유발 기업은 이제 중국에서 사업할 생각을 접어야 한다. 일반 기업에도 엄격한 환경관리 의무가 부과된다. 한마디로 돈이 많이 든다. 중국 진출의 의미가 퇴색할 수 있다. 환호의 이유는 황금시장이다. 중국은 앞으로 국가적인 환경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중국발 골드러시다. 환경 관련 산업은 무조건 환영이다. 세금도 깎아준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10년 구상’이 주목받는 이유다. 태양전지 등 친환경사업은 중국이 목을 매는 분야다. 환경과 바이오를 앞세운다면 중국을 내수시장처럼 만들 수 있다. 우리 기업이 지금부터 애써 가꿔야 할 꿈이다.

진세근 탐사2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