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News 게시판

    Honoring our heroes at sea
    페트라 작성일 : 2010-08-04    조회수 : 6,092     


[박동혁함]
August 03, 2010


The ocean is the mother of all creatures, as evidenced by the French and German words for sea, “mer” and “see” respectively, which take a feminine article. But the god of the sea is male. That may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stormy waves, which are far from the gentle, loving image of a mother. The male character of the sea is represented by Poseidon from Greek mythology and Yongwang (the Dragon King) from the Korean legend, among others. When the Vikings built a new ship, a virgin would be offered as a sacrifice to Poseidon. Similarly, the Korean folktale “Simcheongga” is about a girl who is offered to Yongwang to cure her father’s blindness.

In the Middle Ages, because of religious influence, the sacrificial offering evolved into a ship’s christening, and the shipowner would name the ship after his wife or daughter. The ritual of cutting the rope with an axe is symbolic of cutting the umbilical cord.

Many ships were named after women. Christopher Columbus set out on his expedition on the Santa Maria and returned home on the Nina. When Ferdinand Magellan completed his around-the-world voyage, the only ship in his fleet that survived the trip was the Victoria.

Modern ship names are more diverse. The Titanic signified the ship’s size, while the Queen Mary and the Queen Elizabeth are symbols of luxury.

Warships and naval vessels, however, are often named after historic figures. In Korea, the first ships of the KDX-1 and -2 series are named Gwanggaeto the Great, of the Goguryeo Kingdom, and Admiral Yi Sun-shin, of the Joseon Dynasty. The first ship of the KD-3 series is Sejong the Great.

King Gojong, the last ruler of the Joseon Dynasty, felt insulted when Western ships made military expeditions in 1866 and 1871. He wished to show off Korea’s power with the newest battleships, but the country did not have the technology to build a modern warship. In 1903, Joseon purchased a second-hand cargo ship from Japan’s Mitsui Corporation and installed four cannons. However, the ship was disarmed and became a cargo ship again when the Japan-Korea Protectorate Treaty was signed in 1905.

Destroyers and convoys, the core of today’s navy, are usually named after cities and provinces. Corvettes are named after mid-sized cities such as Cheonan. Landing boats take their names from islands and peaks, while rescue boats are named after industrial complexes. Patrol boats are named for different kinds of vultures. The patrol boat that was involved in the Second Battle of Yeonpyeong was the Chamsuri, and the high-speed boat involved in the battle was the Geomdoksuri. The sixth Geomdoksuri, which was commissioned last week, is named the Park Dong-hyeok, after the sixth solider who died in that battle. These patriotic souls are now the guardians of the sea. Let’s pay our respects to their patriotic spirits one more time.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Park Jong-kwon





[분수대] 박동혁함
바다를 뜻하는 프랑스어 ‘메르(mer)’나 독일어 ‘제(see)’엔 여성형 관사가 붙는다. 바다가 생명체의 모태(母胎)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바다의 신’은 남성이다. 거친 파도는 인자한 모성(母性)과 거리가 멀기 때문일까. 포세이돈과 용왕이 그렇다. 그래서 바이킹은 배를 새로 지으면 포세이돈에게 처녀를 제물로 바치고 안전과 풍요를 빌었다. 인당수 용왕에 심청을 바친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런 것이 중세 종교의 영향으로 ‘제물(祭物)’ 대신 ‘세례(洗禮)’로 바뀐다. 선주의 부인이나 딸이 ‘대모(代母)’가 되어 배의 이름을 짓고 축복하는 것이다. 진수식에서 밧줄을 도끼로 자르는 의식은 ‘탯줄’을 끊는다는 의미다. 선명(船名)은 여자 이름이 대세였다. 콜럼버스는 ‘산타 마리아’에 올라 ‘니냐’로 돌아온다. 마젤란의 선단 중 유일하게 남은 게 ‘빅토리아’다. 재클린 케네디가 그리스의 선박왕 오나시스를 만난 곳은 ‘크리스티나’였다. 오나시스의 첫째 딸 이름을 딴 초호화 요트다.

근대에는 배 이름도 다양해졌다. ‘타이타닉’은 크기, ‘퀸 메리’와 ‘퀸 엘리자베스’ 자매는 호화로움의 상징이다. 그런데 전함이나 군함에는 역사적 인물이 등장한다. 미국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이나 ‘로널드 레이건’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도 한국형 구축함 KDX-1,2 시리즈 1호는 광개토대왕과 이순신장군, 이지스시스템을 탑재한 KD-3 시리즈 1호는 세종대왕함이다. 비록 초라했지만 근대식 군함 1호는 ‘양무(揚武)’였다. 병인·신미년의 ‘양요(洋擾)’로 자존심이 상한 고종(高宗)은 신식 군함으로 본때를 보이고 싶었다. 하지만 기술이 없었다. 결국 일본 미쓰이물산 중고 화물상선을 1903년 구입, 함포 4문을 설치해 구색을 갖춘다. 을사늑약으로 1905년 다시 화물선이 되면서 무장해제의 비운을 겪지만.

현대의 막강 해군 주축인 구축함과 호위함은 ‘강원함’처럼 광역시·도명을 붙였다. 초계함은 ‘천안함’같은 중소도시명이다. 상륙함은 섬이나 산봉우리, 구조함은 공업단지명이다. 고속함정은 맹금류다. 제2연평해전 주역이 ‘참수리’, 한 급 위 유도탄고속함이 ‘검독수리’다. 지난 주말 진수된 6번째 ‘검독수리’가 ‘박동혁함’으로 명명됐다. 이로써 ‘검독수리’ 1번호 ‘윤영하함’에 이어 서해의 용사 6명 모두 검독수리가 됐다. 산화(散華)한 넋이 ‘바다의 수호신’이 된 것이다. 그들의 호국정신에 재삼 경의를 표한다.

박종권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