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News 게시판

    High school baseball needs a home run
    페트라 작성일 : 2010-10-28    조회수 : 5,025     





[고교야구]
October 28, 2010


Baseball used to be known by different names in Asia. In China, it was called batball and in Japan, it was known as fieldball. When the game was introduced to Korea by the YMCA in 1905, it was called hitball or strikeball. Koreans thought the object of the game was for players to score points by hitting the baseball.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name of the sport was switched to fieldball.

Once it caught on, fieldball became an outlet for anti-Japanese sentiment, perhaps because of the thrill of hitting a ball to make it fly away.

After the country was liberated from Japan, the sport started spreading so that competitions were held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teams. Although competition was interrupted during the Korean War, the crack of the bat hitting the ball lifted the spirits of a people tired of living through such hard times.

High school baseball reached a turning point in 1967. On April 25 that year, President Park Chung Hee tossed out the first pitch at the opening match of the first President’s Cup High School Championship.

According to “Korean Baseball History,” a book published by th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the championship launched a golden age of high school baseball. With the addition of another competition, the Phoenix Flag Championship, the popularity of high school baseball reached its peak. But high school baseball as we know it is about to change.

Next year, there will be no more weekday games, and the competition format will be a league, instead of a tournament. It is a good change and ensures a student’s right to study.

Another change, related to university admissions for student baseball players, is more problematic. Starting next year, it will be a player’s batting average or ERA that determine whether a high school athlete can play ball in college, rather than having admission be based on a team’s performance, as in the past. The troubling result could be that athletes start jockeying for position, instead of playing together as a team.

There is one more thing to point out. When the new rules go into effect, the number of championships will decrease from the current four.

They say that you can’t hit a home run every time, but I hope the KBO can devise a better system for our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We owe that much to these young athletes and to the history of the sport.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Park Jong-kwon

고교야구

야구를 보는 눈이 나라마다 다르다. 미국은 ‘베이스볼’이다. 루(壘)를 차례로 점령하고, ‘홈’으로 귀환하는 경기다. 중국은 봉구(棒球)다. 몽둥이를 이용하는 거다. 일본은 야구(野球)인데, 아마도 들녘처럼 너른 구장이 인상적이었을까. 한국에 소개된 1905년 YMCA에서는 타구(打球)나 격구(擊球)로 불렀다. 때리거나 치는 경기로 본 것이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야구가 됐지만.

시원스레 쳐내는 통쾌함 때문이었을까. 야구는 항일정신을 분출하는 경기였다. 중학교를 중심으로 열린 연맹전은 광복 이후 고교야구 대회로 이어진다. 1946년 휘문중과 개성중의 개막전으로 청룡기가, 이듬해엔 황금사자기 대회가 열린다. 6·25전쟁으로 잠시 중단됐지만, 고단한 삶에 지친 서민들에게 경쾌한 타구음은 일상의 번뇌를 잠시나마 잊게 하는 청량제였다. 그럴 것이 야구공의 실밥도 108개다. 바로 ‘백팔번뇌’가 아닌가. 이런 고교야구는 1967년 일대 전환기를 맞는다. 그해 4월 25일 동대문구장. 박정희 대통령이 마운드에 올랐다. 제1회 대통령배 고교야구 개막전 시구(始球)를 위해서다. 이 대회 우승은 경북고, MVP는 임신근이었다. 대한야구협회가 발행한 『한국야구사』는 이 시기를 ‘고교야구 전성시대의 개막’이라고 표현한다. 봉황기 대회까지 가세하면서 고교야구는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대회마다 만원사례를 이뤘고, 동대문구장 주변에는 교가(校歌)가 끊이지 않았다.

수많은 스타를 배출했지만, 70년대는 ‘1최2김’의 트로이카 시대였다. 경남고의 최동원과 대구상고의 김시진, 그리고 군산상고의 김용남이다. 투수 시대가 열렸고, 물고 물리는 승부에 온 국민이 손에 땀을 쥐었다. 그러나 이것이 마지막 촛불이었나. 1981년 광주일고의 선동열과 선린상고 박노준의 대결을 마지막으로 고교야구는 이듬해 개막한 프로야구에 빛이 가린다.

프로야구에 밀린 채 평상시 동문회를 갈음하던 고교야구가 내년부터 달라진다. 평일 경기를 없애고, 토너먼트 대신 리그 방식으로 치른다고 한다. 선수의 학습권 보장이란 측면에서 주말경기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대학진학에 필요한 성적을 팀이 아니라 타율·방어율 등 개인별로 매기는 건 문제다. 협동심 대신 이기심을 조장하면 어쩌나. 또 1년에 두 차례 왕중왕전으로 통합하면서 40~65년 역사의 ‘○○배’ ‘△△기’ 대회도 존폐의 기로에 섰다. 일본은 올해 제92회 ‘고시엔 대회’를 열었는데.

박종권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