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News 게시판

    A fairy tale come true
    페트라 작성일 : 2010-06-07    조회수 : 4,299     



[방자전]
June 07, 2010


“The Servant,” a new movie released on Wednesday, is based on the rather outrageous proposition that Chunhyang, the heroine of the popular Korean folktale “The Story of Chunhyang,” falls in love with Bang-ja, the servant of Lee Myong-ryong, and not with the master himself. In the movie, the hero is not Lee, who abandons Chunhyang and leaves for Seoul, but Bang-ja, who stays by her side. Because of the way the film distorts the story, a contrary version of the story is passed down.

The fun of reversing a well-known story has a long tradition. The Story of Chunhyang, itself, is a reversal of sorts. The idea that Chunhyang, the daughter of a gisaeng courtesan, could be the lawful wife of a royal emissary who won first place in a state examination - in a society with a rigid caste system - is somewhat outrageous.

But the Chunhyang legend, which originates from Bakseok Pass in the Namwon region, says that Chunhyang, who had a secret crush on the young master Lee, was not a beauty but an ugly woman. Although Lee is tricked into sleeping with Chunhyang by her mother Wolmae, he flees to Seoul as soon as he sees Chunhyang’s real face. Chunhyang, out of indignation, commits suicide, and her vengeful spirit kills the newly-appointed magistrates of Namwon one after another. As a result, the royal court decides to appoint Lee, who had repeatedly failed to pass his state exam, as the magistrate of Namwon in order to console Chunhyang’s spirit. To further soothe her, Lee writes a song, “The Song of the Faithful Woman Chunhyang.”

This legend is the origin of The Story of Chunhyang. It tells us that Bakseok Pass, which is also part of the traditionally sung pansori version of the story, was originally Baksaek - or Ugly Woman - Pass.

As with these versions of the Chunhyang story, the reversal as a device has become a trend in popular culture today.

In addition to The Servant, which is a hit at the box office, the recently-ended KBS-2 drama “Cinderella’s Elder Sister,” achieved great success by replacing the heroine with the stepmother’s daughter.

“Robin Hood,” the opening film at the Canne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earlier this year, is based on the nonsensical premise that the legendary outlaw Robin Hood, who went around Sherwood Forest on the outskirts of England, gathered the lords of England to force the king to sign the Magna Carta, the charter that laid the foundation of constitutional government in England.

What does the reversal, so popular in the world of film, signify for us in real life?

Perhaps it tells us that if a protagonist thinks he is the only person playing the leading role, it is a miscalculation.

For those who won the local elections on Wednesday by the slightest of margins, that may not be such a far-fetched tale.

*The writer is the content director at JES Entertainment.

By Song Won-seop

방자전

2일 개봉한 영화 ‘방자전’은 누구나 다 아는 고대소설 ‘춘향전’의 춘향이가 이도령 아닌 방자에게 반했다는 다소 발칙한 상상에서 출발한다. 진짜 주인공은 춘향을 버리고 한양으로 가버린 이몽룡이 아니라 줄곧 곁을 지키며 궂은 일을 무릅쓴 방자였으며, 오늘날 사실과는 전혀 다른 ‘춘향전’이 전해지는 것은 의도적인 왜곡이라는 것이다.

다 아는 이야기를 뒤집어 보는 전복(顚覆)의 재미는 유래가 깊다. 엄밀히 말하면 엄격한 신분제 사회에서 기생의 딸인 춘향이 장원급제한 어사의 정실이 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전복적인 내용이지만, 남원 지방에 내려오는 ‘박석고개 전설’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간다.

이몽룡을 짝사랑한 춘향은 본래 미녀가 아닌 끔찍한 추녀였고, 월매의 간계에 넘어가 춘향과 하룻밤을 같이한 이몽룡은 본얼굴을 보자마자 서울로 야반도주한다. 굴욕을 참지 못한 춘향이 자결하고, 그 원혼 탓에 남원 땅에 부임하는 신관 사또마다 죽음을 당하자 나라에선 그 넋을 위로하기 위해 낙방거사 이몽룡에게 남원 현령을 제수한다.

이때 몽룡이 진혼을 위해 윤색된 ‘열녀춘향수절가’를 만들어 널리 유포시킨 게 오늘날 전해지는 춘향전의 유래라는 것이다. 판소리 춘향가에도 나오는 박석티가 본래 박색치(薄色峙)였다는 게 이 전설의 핵심이다.

전복의 미학은 최근 대중문화의 트렌드이기도 하다. ‘방자전’이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고, 3일 종영한 KBS-2TV 드라마 ‘신데렐라 언니’는 원작에서 주인공 신데렐라를 학대하던 조연인 ‘계모가 밖에서 데려온 딸’을 주인공으로 바꿔 놓아 큰 성공을 거뒀다. 올 칸 영화제 개막작이던 영화 ‘로빈 후드’는 영국의 한 변두리 셔우드 숲을 누비던 의적 로빈 후드가 전국의 영주들을 이끌고 국왕을 압박해 영국 헌정의 기초인 대헌장(Magna Carta)을 낳게 한다는, 다소 황당무계한 이야기다. 동화 속 왕자와 공주 이야기를 뚱뚱하고 못생긴 괴물로 바꿔 놓은 ‘슈렉’ 시리즈 4편은 지난주 미국에서 개봉돼 이미 흥행 1억 달러를 넘어섰다(국내는 8월 개봉).

이렇듯 전복 스토리가 넘쳐나는 세상은 뭘 말해주고 있을까. 혹시 한번 주인공이 늘 주인공인 줄 알면 큰 오산이라는 교훈은 아닐까. 자신들의 지위를 과신하고 민의(民意) 읽기를 게을리했다가 2일 지방선거에서 아찔한 경험을 한 사람들에겐 왠지 남의 얘기가 아닐 것 같다. 

송원섭 JES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