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News 게시판

    Lessons from Versailles
    페트라 작성일 : 2010-07-02    조회수 : 4,332     



[전승국들이 강요한 베르사유 조약, 더 큰 재앙의 씨앗 되다]
July 02, 2010



In the autumn of 1918, World War I entered its final stage and Germany realized defeat was near. On Nov. 8, Bavaria established its own republican government, and German Emperor Wilhelm II fled to the Netherlands in the morning the following day.

At 5 a.m. Nov. 11, two representatives of Germany met Marshal Foch, the supreme commander of Allied armies, in the forest of Compiegne and signed an official document that ended the war. Six hours thereafter, cease-fire orders were delivered to all military units.

When the news reached civilians, people across London, Paris and Rome poured into the streets to celebrate. They danced and sang just as they had done four years earlier when war was declared.

In the aftermath of the war, the victorious countries wanted compensation for the many sacrifices they endured during the war. They demanded that Germany pay for its “wickedness” in blood and money.

David Lloyd George, who led the Liberals in the 1918 general elections in the United Kingdom, campaigned under the slogans “Hang the Kaiser!” and “Make Germany Pay!” One of his party members stumped around the country saying, “Let’s squeeze the lemon called Germany as hard as we can.”

The Allies called the war a “crusade against evil,” and this was reflected in the language of the peace treaty.

Ninety-one years ago this week, the Treaty of Versailles was signed in the Hall of Mirrors at the Palace of Versailles in a suburb of Paris. It was exactly five years after the assassination of Archduke Franz Ferdinand in Sarajevo, Bosnia, which had led to the outbreak of the war.

The treaty was highly controversial among Germans. After having lost the war, they were humiliated to have to give the enormous reparations and territory requested of them. Germany was supposed to pay 132 billion marks (then $31.4 billion) - an amount that economists said would take them until 1988 to pay.

Article 231, or the “War Guilt Clause,” especially evoked the rage of the Germans. The clause asked Germany to accept full responsibility for starting the war and laid the blame of all of the losses and damages the Allies sustained during the war on Germany.

To rub salt into their wounds, the victors used particularly harsh language when translating this clause into German.

The goal of the Treaty of Versailles was to pacify and permanently weaken Germany. But the hostility Germans felt toward the Allies because of the peace treaty paved the way for the rise of the Nazis.

The treaty provides us with a lesson that still resonates today: Retaliation that goes beyond the bounds of common sense will bring about an even bigger conflict.

*The writer is a professor of history education at Woosuk University.

By Park Sang-ik

전승국들이 강요한 베르사유 조약, 더 큰 재앙의 씨앗 되다

제1차 세계대전이 막바지에 이른 1918년 가을. 독일엔 더 이상 희망이 없었다. 11월 8일 바이에른에서 공화국이 선포됐고, 다음 날 아침 일찍 황제 빌헬름 2세는 네덜란드로 피신했다. 11월 11일 새벽 5시 패전국 대표 두 명이 콩피에뉴 숲에서 연합군 사령관 포슈 원수를 만나 공식적으로 종전 문서에 서명했다. 6시간 후 전군에 ‘전투 중지’ 명령이 하달됐다. 그날 밤 런던·파리·로마의 수많은 사람은 4년 전 선전포고 보도를 접했을 때와 같은 극도의 흥분 상태에서 거리를 누비며 춤을 췄다.

승리에 도취한 군인과 시민들은 전쟁으로 입은 그들의 희생을 ‘사악한’ 독일인에게서 받아낼 배상금으로 보상받을 수 있으리라고 기대했다. 영국의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는 1918년의 선거 슬로건을 ‘카이저(황제)의 목을 매달자!’로 내걸었고, 그의 당원 중 한 사람은 “독일이라는 레몬을 짜낼 수 있을 만큼 다 짜내자!”라고 선거 유세를 했다. 전쟁은 ‘악에 대한 선의 십자군’이었다는 주장이 무성했다. 승전국들이 기초한 항복문서들에는 당연히 이런 감정이 반영되었다.

1919년 6월 28일 파리 근교 베르사유 궁전의 ‘거울의 방’에서 패전국 독일에 대한 처리 방법이 담긴 베르사유 조약이 조인되었다. 5년 전 오스트리아 대공 프란츠 페르디난트가 사라예보에서 암살당함으로써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던 바로 그날이었고, 48년 전 독일이 프랑스를 꺾고 통일 독일제국을 선포했던 바로 그 장소였다. 베르사유 조약은 독일인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영토 손실이나 전쟁배상금보다는 독일을 다루는 연합국들의 태도 때문이었다. 독일 황제를 법정에 세워 전범으로 처벌해야 한다는 주장은 치욕적이었다. 특히 독일이 전쟁의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는 제231조의 ‘전범조항’은 독일인들을 격분케 했다. 그 구절은 독일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더욱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문구로 작성됐다. 조약이 지켜질 것이라고 믿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독일인들은 조국의 앞날에 절망했다. 적개심은 결국 히틀러 등장의 조건으로 작용했다. 상식을 벗어난 보복은 더 큰 재앙을 부를 뿐이라는 역사의 교훈이다.

일본은 1911년의 제3차 영일동맹을 구실로 1914년 8월 독일에 선전포고를 했다. 패전국 독일은 일본에 전쟁배상금 일부를 책으로 전했고, 일본은 이 책들을 경성제국대학(서울대)·동경제국대학(도쿄대)·대만제국대학(타이완대) 등 3군데 도서관에 나눠 보관했다. 물론 이 책들은 지금도 서울대 도서관에 소장돼 있다. 베르사유 조약은 우리에게도 ‘남의 일’만은 아니었다.

박상익 우석대 역사교육과 교수·서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