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News 게시판

    The argument for fingers
    페트라 작성일 : 2010-07-01    조회수 : 4,222     



[터치폰과 진화]
July 01, 2010


The earliest member of the Homo genus - to which humans belong - is called the “handy man.” Homo habilis lived over 2 million years ago and were excellent at using their hands to work primitive stone tools.

When Homo sapiens emerged over 250,000 years ago, they stood out for their advanced stone technology. Whereas Homo habilis had merely sharpened rocks, our early ancestors had hand axes and stone knives.

Scientists have suggested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one’s hands and brain development. Humans were able to outlive their prehistoric ancestors by developing tools that helped them survive. They could kill more animals faster with hand axes than the primitive stone tools used by other beings at the time, so their communities were able to expand and flourish.

Today’s parents are eager to exploit the connection between using one’s hands and brain development. In China, they even sell a special kind of chopsticks that is supposed to stimulate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Smaller than normal chopsticks, and with rings where you put you’re fingers, they allow children who are just beginning to develop motor skills to eat with chopsticks.

Korean chopsticks have long been lauded in this country for their ease of use. Since they are of medium length and have round ends, young Koreans can use the chopsticks to pick up everything from pork to tiny sesame seeds. I wonder if such precise finger movements have helped Koreans in the soft power field.

Of course, writing is another task that requires the coordinated use of one’s hands. As one of the four traditional criteria for judging a person, writing was used in the past to asses both one’s character and intellect.

But in this age of iPhones and Google, how often are we really using our hands any more? The art of writing is being overshadowed by text messages and dictated memos. Up until recently, people still used their hands to type, but with the advent of touch screens and smartphones, people only need one finger.

I think that the person Google hates the most is Rodin’s The Thinker. When people want to know the name of an actor in a hit movie, they don’t stop to think about it. They simply pull out their iPhone or Android-based cell phone and Google search the movie.

There’s nothing smart about smartphones. My friends and I joke that companies like Apple and Google will go completely bankrupt if people start to think.

As we become a society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and intelligence of individuals are overshadowed by collectivism equal to that of ants, I wonder whether we can reclaim our hands and save ourselves from a world of one-finger living.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Park Jong-kwon

터치폰과 진화

인간이 나무에서 내려와 처음 ‘호모(Homo)’ 속(屬)으로 분류된 게 도구를 사용하면서다. 바로 ‘호모 하빌리스’다. 손을 잘 쓰거나, 도구를 사용한다는 뜻이다. 손을 쓰면서 두뇌 용량이 커지기 시작했고, 이때부터 인류가 진화의 고속도로에 오른다.

손가락과 두뇌 발달의 상관관계는 과학적으로 규명돼 있다. 그러자 요즘 손가락을 이용한 치매예방법도 나왔다. 양손을 펴고 먼저 한 손의 엄지를 꼽은 뒤 이 손의 검지와 다른 손의 엄지부터 동시에 꼽아간다. 열을 세면 원위치로 돌아온다. 순차 꼽기다. 이때 두뇌세포가 활성화되는데, 적외선 촬영장치로 보면 혈류의 증가가 뚜렷하다.

그래선가. 젓가락 문화와 지능을 연계하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요즘 신혼부부 선물로 ‘아동 지능 젓가락’이 인기다. 젓가락 중간에 엄지와 검지, 중지를 끼울 수 있도록 고리가 붙어 있고, 꼭대기에는 인형이 달려 있다. 일찍부터 젓가락을 사용하면 천재가 된다는 상술이다. 그렇다면 한국형 젓가락이 더 천재적 아닐까. 중국은 굵고 길다. 먼 곳의 기름진 음식을 집기 위해서다. 일본은 짧고 끝이 날카롭다. ‘이치닌마에(一人前)’ 밥상인 데다 공기를 들고 먹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은 적당한 길이에 끝부분이 넓적하면서도 예리하다. 콩은 물론 심지어 깨도 집는다. 이런 미세함이 소프트파워의 원천이 될 수 있다.

게다가 글씨는 또 어떤가. 선과 점에 원과 네모 등 도형이 가미된 그야말로 기하학적 조합이다. 사람을 평가하는 신언서판(身言書判) 기준에서 ‘서(書)’는 글씨를 통해 사람됨뿐만 아니라 ‘지능’까지 짐작하는 것인지 모른다.

그런데 진화의 최첨단에 선 현대인은 손 쓸 일이 줄었다. 글 대신 타이핑, 메모 대신 녹음이다. 비록 ‘독수리 타법’이라도 제법 손가락들을 놀렸는데, 이제 손가락 하나면 족하다. 아이폰·구글폰 등 터치 시대인 것이다. 게다가 두뇌를 쓸 필요도 없다. 구글이 가장 싫어하는 사람이 로댕이란다. 생각하는 사람 말이다. 키워드만 넣으면 알아서 생각까지 대신해 주는데, 사람들이 생각을 시작하면 구글의 미래가 어둡다는 웃을 수 없는 우스개다.

그렇다면 ‘인류 오디세이’는 어디를 향하는 것일까. 퇴보할까. 아니면 ‘1인 지능’이 ‘다중(多衆) 지능’으로 형태만 바꿔 적응하는 것일까. 마치 개미처럼. 인간 개개인의 독자성이 집단화에 매몰된 요즘, 감성적 터치폰의 확산에서 ‘모바일 매트릭스’에 갇힌 인류를 상상하면 비약일까.

박종권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