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News 게시판

    Deadly fallout from false reports
    페트라 작성일 : 2010-06-14    조회수 : 4,126     



[허위 보고]
June 14, 2010


During the First Opium War, the commanding general of the Qing Dynasty’s army reported to the emperor on March 17, 1841, that he had achieved a great victory over the British army. It was a lie. The very next day, the Port of Guangzhou, where the general was stationed, fell to the British.

The commanding general’s successor committed the same act of deceit only two months later. On May 26, he reported to the emperor that the Qing army had won a brilliant victory against the British, burning and sinking their fleet of ships. But on the same day he sent the report, he signed a convention without the approval of the emperor that reopened trade with the British and paid an indemnity of $6 million to the enemy country.

The fallout from these falsehoods were grave: The Qing Dynasty ultimately lost the Opium War due to poor decisions based on fabricated intelligence.

Korea has seen its own share of devastating military defeats based on false intelligenc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late 16th century, fraudulent reports were rampant.

The most destructive of these came from Yukinaga Konishi, a Japanese military commander. Konishi offered the Joseon Dynasty intelligence on a future Japanese naval attack because he hated Kiyomasa Kato, the Japanese commander who was leading the attack.

The courtiers of the Joseon Dynasty were eager to believe Konishi and urged naval leader Adm. Yi Sun-sin to prepare his men. But Admiral Yi saw through Konishi’s lies and refused to deploy the Joseon Navy.

Seeing another chance to undermine the Joseon leadership, Konishi decried Admiral Yi’s judgement, saying that the delay meant that Kato’s ships had been able to land on the Joseon shore.

Boiling with anger at Admiral Yi’s blunder, King Sunjo sent an official to the shoreline to verify Konishi’s intelligence. While there were no Japanese ships to be seen, the official still reported to the king that he had seen Kato’s forces and that the country’s defences had been compromised.

Based on such lies, Joseon’s most brilliant naval leader, Admiral Yi, was imprisoned. The Joseon navy faltered without his leadership and was defeated to the point of near annihilation.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revealed last week that military authorities made false and incomplete reports during the Cheonan crisi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they fabricated a report on an unidentified object suspected to be a North Korean semi-submersible as if it were a flock of birds. They also falsified the record on the time of the incident, omitted important videos and concealed reports that soldiers on guard heard the sound of an explosion. How many of our young men have to die before we learn the danger of such false military reports?

*The writer is a city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By Koo Hui-lyung

허위 보고

아편전쟁 때다. 1841년 3월 17일 청(淸)의 장군 양방은 광저우(廣州)에서 ‘청나라 군대가 적군에 대승했다’고 보고를 올렸다. 허위였다. 다음날 광저우성이 영국군에게 함락됐으니.

양방의 후임자 혁산은 한술 더 떴다. 혁산은 같은 해 5월 26일 ‘영국 함대를 침몰시키고 불태우는 혁혁한 전공을 올렸다’고 황제에게 보고한다. 그가 ‘영국과 통상을 재개하고 보상금 600만 냥을 주겠다’는 굴욕적인 조건으로 황제 몰래 영국군과 정전협정을 맺은 바로 그날에 말이다.

이중톈 중국 샤먼대 교수는 『제국의 슬픔』에서 아편전쟁의 패인을 설명하면서 “청나라 군대를 이끌던 장수들 대부분이 허위 보고를 했다. 이 때문에 황제는 매 순간 거짓말만 믿고 의사 결정을 해야 했다. 그러니 군대가 어찌 패하지 않고 견디겠는가. 그러한 국가가 어찌 망하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라고 탄식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이 이런 식이었다. 전쟁으로 혼란한 틈을 타 허위보고가 난무했다. 이순신 장군도 허위보고에 희생됐다.

사연은 이렇다.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가 “조선과의 화의를 방해하는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밉다. 그의 상륙일을 알려줄 것이니 조선 수군이 무찌르라”는 정보를 조선에 준다. 이를 믿은 조정에선 이순신에게 출병을 재촉했다. 하지만 장군은 적의 간계를 간파하고 움직이지 않았다. 그러자 고니시는 “가토가 벌써 상륙했다. 아까운 기회를 놓쳤다”고 비난한다. 조정은 ‘이순신 문책론’으로 들끓었다.

선조는 성균관 사성 남이신에게 한산도로 가서 이순신의 잘못인지 확인하라고 했다. 전라도 백성들이 이순신 장군의 원통함을 호소했지만 남이신은 “가토가 암초에 걸려 7일 동안이나 머물렀는데 이순신이 머뭇거려 그만 기회를 놓쳐버렸다”고 사실과 다르게 보고했다. 이로 인해 이순신 장군은 옥에 갇혔다. 장군을 잃은 조선 수군은 왜군에게 전몰하다시피 했다. (유성룡, 『징비록』)

모두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웠던 시절의 이야기다. 그런데 천안함 사건 당시 군이 허위보고를 했다는 사실이 최근 감사원 감사 결과 밝혀졌다. 북한 반잠수정으로 의심되는 미식별 물체를 새떼라고 보고하도록 조작했단다. 사건 발생 시간도 왜곡하고 중요한 동영상을 누락시켰다고 한다. 폭발음을 들었다는 최초 보고도 상부에 숨겼단다. 지금이 임진왜란 때인가, 아편전쟁 때인가.

구희령 사회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