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News 게시판

    How many more must suffer?
    페트라 작성일 : 2010-06-18    조회수 : 4,188     



June 18, 2010
Faster, but also unpredictable



In China, corruption scandals involving bureaucrats are so common that they no longer make waves. But something bizarre happened there recently. On Saturday, a Mr. Lin, a secretary with the discipline and inspection committee of the local party in Lungmen, Pubei Prefecture, Guangxi Province, came to his office drunk in the middle of the day. When he entered the office, there were four women working and he started making jokes that were so dirty that two of the women left. The two who stayed were treated to a show when Lin dropped his pants, leaving him bare naked from the waist down. He only stopped what he was doing when a staff member from the office next door intervened.

The subsequent investigation into the incident revealed that Lin regularly abuses his power by putting it on display. The stain he cast on the committee was exacerbated by the fact that it is the highest authority on corruption involving party members.

There was an even more terrible incident of sexual harassment in Pattong, Hubei Province - a murder case involving Deng Gweida, a member of the party’s discipline and inspection committee and a former gangster. Deng worked for the Sangwan District legal committee in Pattong and was later promoted to the discipline and inspection committee.

One day, he went to a sauna and demanded “special service” from a female worker named Deng (no relation). When she refused to comply with his demand, he beat her. She had a knife and used it to defend herself but ended up killing him. It was a clear case of self-defense, but the police arrested her on murder charges. When Internet users heard about the case, they rallied behind her. University professors and government officials also lent their support and in an instant, all of China was united behind a campaign to get her acquitted.

There is yet another example. Jung Jenchu, director of the Sichuan Province audit and inspection bureau, the symbol of cleanliness and prestige for the government, was arrested on charges of sexual harassment. When he was charged, he responded nonchalantly, saying, “Why such a fuss over the fact that I had a woman sit beside me for a while?” A local newspaper reported that “it was a symbolic remark showing how serious the problem of sexual harassment within the government is.” Another paper lamented that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as become the People’s Republic of Sex.”

What about Korea? Are we free from such worries? In addition to Cho Du-sun, who was convicted for raping an 8-year-old girl, and Kim Kil-tae, who is on trial for raping and murdering a 13-year-old girl, we now have Kim Su-cheol, who walked into an elementary school, kidnapped an 8-year-old girl and raped her.

We must do something to stop these crimes against our children. With so many of our young girls affected, we can no longer afford to wait.

The writer is the chief of an investigative reporting team of the JoongAng Ilbo.

By Jin Se-keun

[분수대] 자블라니 변수
월드컵에서 공인구(公認球)가 채택된 것은 1970년 멕시코 대회부터다. 바로 아디다스가 제작한 텔스타(Telstar)다. 위성 생중계를 기념해 붙여진 이름이다. 12개의 검은 오각형과 20개의 흰 육각형으로 이뤄진 공으로, 당시로선 최대한 구형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전에는 공에 대한 특별한 규정이 없었다. 1872년 영국축구협회가 마련한 ‘공은 가죽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규칙만 있었을 뿐이다. 자연히 공의 형태도 규격도 제각각이었다. 우루과이에서 열린 제1회 월드컵 결승전에서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는 서로 자국산을 고집했다. 논의 끝에 전반엔 아르헨티나산, 후반엔 우루과이산을 쓰기로 했다. 공 때문이었는지, 아르헨티나가 전반 2대 1로 앞서다 후반에 우루과이가 4대 2로 역전승한다.

공인구는 대회 때마다 독특한 명칭과 함께 발전을 거듭한다. 미국 월드컵에서 선보인 퀘스트라(Questra)는 기포 강화 소재를 사용해 공의 탄성을 높였다. 회전력을 강화한 한·일 월드컵의 피버노바(Fevernova)는 말 그대로 붉은 응원 물결에 ‘열병의 밤’을 이뤘다. 독일 월드컵의 팀가이스트(Teamgeist)는 32개의 가죽 면을 14개로 줄였고, 이번 남아공 월드컵에 선보인 자블라니(Jabulani)는 3D 기술을 적용해 가죽 면 수를 8개로 줄였다. 공이 원형에 가까워 공기 저항도 줄고 그만큼 스피드는 더 붙었다. 그래서 남아공이 ‘골키퍼의 무덤’이 될 것이란다.

문제는 자블라니가 ‘어디로 날아갈지’ 예측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더구나 남아공의 요하네스버그는 해발 1700m 안팎의 고원지대여서 공기 저항도 적다. 일본 쓰쿠바대학이 실험한 결과 자블라니의 ‘무회전 슈팅’ 경우 비행 궤적이 매우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슈터의 발을 떠난 공에 작용하는 힘이 처음엔 위쪽, 이어 아래쪽, 다시 위쪽으로 이동했다. 한마디로 공이 날아가면서 흔들리고, 뚝 떨어지기도 하는 것이다. 이에 자블라니 맞춤형 축구화도 나왔다. 축구화의 앞쪽과 안쪽을 다른 재질로 해 앞쪽은 스피드, 안쪽은 무회전에 알맞도록 했다는 것이다. 마치 중국 탁구의 이질 러버처럼.

하지만 변화무쌍한 공에 골키퍼만 당혹스럽겠나. 공격수도 공이 어디로 날아갈지 난감할 터다. 과학과 진화의 산물이 오히려 불가측성만 높인 셈이다. 그렇다면 ‘공은 둥글다’는 명언이 힘을 발휘할까. 이변이라도 좋다. 하수상한 유월에 또 한번 ‘대~한민국’의 함성을 기원한다.

박종권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