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ring tariff man
PARK HYUN-YOUNG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global economic team at the JoongAng Ilbo.
In December 1988, the piano featured in the movie “Casablanca” was auctioned at Sotheby’s. Two bidders competed in the end — real estate developer Donald Trump and a representative for a Japanese collector. When Trump lost the bid, he said he understood the rise of the Japanese economy. The episode was recently revealed by The New York Times. Trump understood that Japan emerged by stamping on the sacrifices of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e Times, Trump said on television in the following year that he had a strong faith in tariffs. He argued that Japanese imports should be tariffed 15 percent to 20 percent. Korea and West Germany — both of which had trade surpluses with the United States — were singled out as countries that had plundered the United States.
Replace “Japan” with “China,” and it is exactly the same argument as the one Trump is making as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Since Trump used the “tariff” weapon he talked of nearly 30 years ago, it is unlikely that tariffs will be lifted easily. The target country can also change anytime. As the target has shifted from Japan to China, it could move to Korea, Vietnam or the European Union.
Countries alternate between smile and tears because of Trump, the “tariff man.” After Trump postponed the tariff on imported cars by 180 days last week, Korea was relieved. As Korean cars are gradually pushed out of the Chinese market, higher tariff barriers in the United States could fatally hurt Korea’s exports. As the trade war damaged the global supply chain, countries with high dependency on trade are hit hard. Korea is one such countries due to its high export dependency o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2017, 81 percent of Korea’s gross domestic product (GDP) came from trade, according to the World Bank, compared to only 27 percent in the United States and 38 percent in China. Structurally, the Korean economy is more vulnerable than those of the countries fighting the trade war. In fact, the Korean economy contracted in the first quarter. Its GDP growth rate was negative 0.3 percent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In the same period, the U.S. economy grew by 3.2 percent and China’s by 1.4 percent. Concerns are also rising about the German economy, with an 82 percent dependence on trade.
The U.S. media began to mention the possibility that Trump’s tariffs are likely to continue for a while. It is miscalculation to assume that tariffs are only used as leverage for trade talks with China. The Korean economy has added burden now.
JoongAng Ilbo, May 22, Page 29
‘관세맨’ 트럼프에 떠는 한국 경제
박현영 글로벌경제팀장
1988년 12월 영화 ‘카사블랑카’에 소품으로 나온 피아노가 뉴욕 소더비 경매에 출품됐다. 입찰 막바지에 두 사람이 격렬하게 붙었다. 부동산개발업자 도널드 트럼프와 일본인 컬렉터의 대리인이었다. 상대에게 피아노를 빼앗긴 트럼프는 이 일을 계기로 일본 경제의 급부상을 실감했다고 한다. 뉴욕타임스(NYT)가 최근 전한 일화다. 트럼프는 일본의 성장이 미국의 희생을 딛고 이뤄진 것으로 이해했다. NYT에 따르면 트럼프는 이듬해 방송에서 “나는 관세에 강한 믿음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산 수입품에 15~20% 관세를 매기자고 주장했다. 대미 무역 흑자국인 한국과 서독도 "미국을 약탈하는 나라"로 지목했다.
어제 들은 듯 익숙한 표현들이다. '일본'을 '중국'으로만 바꾸면 대통령이 된 트럼프가 지난 1년간 무역전쟁을 벌이면서 숱하게 내뱉은 주장 그대로다. 트럼프가 어언 30년 전 '관세'라는 무기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는 점은 그만큼 관세가 쉽게 사라지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상대 국가는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는 의미도 있다. 일본이 중국으로 바뀌었듯, 타깃이 중국에서 다시 한국, 베트남, 유럽연합(EU)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지금도 '관세맨' 트럼프 때문에 주요 국가들이 울고 웃는다.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 결정을 180일 유예했다. 덕분에 한국도 한숨 돌리게 됐다. 한국 자동차가 중국 시장에서 점점 밀려나고 있는 상황에서 대미 관세 장벽까지 쌓아 올려지면 한국 수출은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 무역전쟁으로 글로벌 공급사슬이 훼손되면서 무역의존도가 높은 나라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한국도 그중 하나다. 미국과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한국 국내총생산(GDP)에서 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81%다. (2017년 세계은행) 관세전쟁을 시작한 미국은 27%에 불과하다. 중국도 38%에 그친다. 무역전쟁 당사자보다 한국 경제가 더 타격을 입기 쉬운 구조다. 실제로 한국 경제는 올 1분기 뒷걸음질 쳤다. 1분기 실질 GDP 증가율은 -0.3%(전분기 대비)였다. 같은 기간 미국은 3.2%(연율 환산), 중국은 1.4% 성장했다. 수출 강국 독일 경기가 하강에 접어들었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독일 무역의존도는 82%다.
미 언론은 미국 경제가 순항하는 한 트럼프의 관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을 언급하기 시작했다. 관세가 중국과의 무역협상을 위한 지렛대로만 쓰일 것이라는 건 오산이며 미국이 원하는 바를 얻어내기 위한 다목적 용도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 경제에 짐이 더 얹어졌다.